티스토리 뷰

건축설비기사 란?

 건축물이 대규모화되고 건축설비 부분에서 종류와 규모가 방대해지고, 운영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건축물에 설비하는 모든 공작물을 설계, 시공할 수 있는 전문인력입니다.

건축물에 설치될 열원설비, 공기조화설비, 환기설비 및 위생설비 등을 각 건축물의 조건에 적합하게 설계, 시공, 유지, 관리 등의 직무를 수행합니다.

 

 

응시 자격

자격 소지자 관련 학과 전공자 경력자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이상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이상
* 동일 및 유사분야 기사 자격증 소지자
* 동일 및 유산 분야 외국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졸업자 또는 예정자
* 3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1년 이상
* 2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2년 이상
* 기사 수준의 기술훈련 과정 이수자
* 실무 경력 4년 이상

 

 

시험 내용

구분 시험 과목 검정 및 시험 시간 합격 기준
필기  * 건축일반
 * 위생설비
 * 공기조화설비
 * 소방 및 전기설비
 * 건축설비 관계 법규
 * 객관식 4지 택일, 과목당 20문항
  (2시간 30분)
*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건축설비설계 및 시공업무  * 필답형 (3시간) *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 건축설비기사 응시료

 - 필기시험 : 19,400원

 - 실기시험 : 22,600원

 

★★★  건축설비기사 시험신청 바로가기 →  ★★★

 

합격률

연도 필기 시험 실기 시험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2 7,559 4,622 61.1% 5,939 1,368 23.0%
2021 4,478 2,546 56.9% 3,122 1,158 37.1%
2020 2,155 1,230 57.1% 1,817 488 26.9%
2019 2,023 1,042 51.5% 1,623 591 36.4%
2018 1,827 867 47.5% 1,385 439 31.7%

 

 

합격 공략

■ 필기시험

 필기시험은 '건축일반, 위생설비, 공기조화설비, 소방 및 전기설비, 건축설비관계법규' 총 5과목을 평가합니다. 각 과목별 40점(과락) 이상, 평균 60점 이상이 합격 기준입니다. 문제은행식의 시험이므로 과년도 기출문제만 반복해서 봐도 합격에 충분합니다. 과년도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풀고 오답노트를 작성하여 학습하면 좋습니다. 개인의 차이는 있으나, 3개년 정도 기출문제를 풀어보면 충분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 실기시험

실기시험은 필답형 3시간으로 진행이 되며, 60점 이상이 합격 기준입니다. 실기는 계산문제의 비중이 높아 공식을 정확하게 숙지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기출문제를 풀며 필요한 공식을 정리하고 암기해야 합니다. 계산문제의 풀이를 손으로 쓰면서 감각을 익히는 것을 추천드리고 계산 문제는 유형화가 되어 있어 반복해서 풀이하는 방법을 권합니다.

 

 

활 용

 일반건설회사와 전문건설회사, 감리전문회사에 취업이 가능하며, 그 밖에 주택건설회사, 건설교육기관, 유지관리회사, 측량회사, 건설품질검사전문기관, 안전진단전문기관, 기술사사무소, 엔지니어링회사, 건축설계회사 등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향후 5년간 건축설비기술사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이 됩니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국내 건설경기 전망입니다. 장기적으로 가구 수 증가율 감소, 100%가 넘는 주택보급률, 저출산, 고령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신규주택 건출시장의 성장률 감소가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하지만 정부의 주택자금 및 세제지원, 주택거래 및 공급에 대한 규제완화 등 건설 및 부동산 경기 활성화 정책의 시행과 건설경기선행지표인 건축허가 면적과 건설 수주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반전이 되는 등 건설 및 부동산경기가 회복되고 있으며, 건축물규모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건축설비기사 자격증 취득자에 대한 인력 수요는 증가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