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기공사기사 란?

 전기는 생산, 수송, 사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설비를 전기 특성에 적합하게 시공되어야 안전합니다. 그러므로 전력의 모든 시설물을 안전하게 시공하고 검사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격제도를 제정하였습니다.

공사비의 적산, 공사공정계획의 수립, 시공과정에서 전기의 적정여부 관리 등 주로 기술적인 직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공사현장 대리인으로서 시공자를 대리하여 현장관리를 하는 동시에 발주자에 대해서는 시공자를 대신하여 업무를 수행합니다.

 

 

전기공사기사 vs 전기기사 차이점

 전기기사는 건물의 전기관리 및 건물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전기설비 및 설치, 전기감리, 전기설계가 가능하며, 전기안전관리자 및 공사업체 현장대리인, 감리, 설계사 등으로 취업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기공사기사는 건물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전기설비 및 설치, 전기감리, 전기설계가 가능하며 공사업체의 현장대리인으로만 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활용도 측면으로는 전기기사의 활용도가 더욱 높다고 판단되며, 어느 기술사분의 말씀대로 정적인 사람은 전기기사, 동적인 사람은 전기공사기사가 더욱 어울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응시 자격

자격 소지자 관련 학과 전공자 경력자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이상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이상
* 동일 및 유사분야 기사 자격증 소지자
* 동일 및 유산 분야 외국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졸업자 또는 예정자
* 3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1년 이상
* 2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2년 이상
* 기사 수준의 기술훈련 과정 이수자
* 실무 경력 4년 이상

 

전기기사

 

시험 내용

구분 시험 과목 검정 및 시험 시간 합격 기준
필기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 전력공학
 * 전기기기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 전기설비기술기준
 * 객관식 4지 택일, 과목당 20문항
   (2시간 30분)
*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전기설비 견적 및 시공  * 필답형 (2시간 30분) *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 전기공사기사 응시료

 - 필기시험 : 19,400원

 - 실기시험 : 22,600원

 

★★★  전기공사기사 시험 신청 바로가기 →  ★★★

 

합 격 률

연도 필기 시험 실기 시험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2 13,583 6,475  47.7%  9,161 6,037  65.9% 
2021 17,055 8,906  52.2%  10,658 4,508  42.3% 
2020 8,869 4,904  55.3%  6,666 3,904  58.6% 
2019 12,263 5,227  42.6%  6,338 1,852  29.2% 
2018 9,430 3,462  36.7%  4,655 2,162  46.4% 

 

 

전기기사 사진

 

합격 공략

■ 필기시험

 전기기사 필기시험 5과목 중 4가지 과목이 공통과목입니다.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과목이 공통 과목입니다. 전기공사기사 또는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 후 2년 내에 다른 한 가지 자격증 필기시험에 응시하게 되면, 위 네 가지 공통과목을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선택사항으로, 과목 평균 60점 이상이어야 합격이 가능한 기사, 산업기사 시험의 특성상, 비교적 난이도가 낮은 공통과목을 응시하여 평균점을 높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전기공사기사 자격의 필기 기출문제는 기술사처럼 산업인력공단 QNet 홈페이지에 올라오진 않지만, 시험을 치른 후 시험지를 가지고 나갈 수 있기에 정확한 기출문제가 각종 CBT사이트나 교재를 통해 공개되고 있습니다. 기사 문제의 특성상 문제은행 방식으로 출제가 되며 최근 5~10년간의 기출문제는 숙지하고 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출문제를 풀어보며 따로 오답노트를 정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오답을 정리할 때에는 틀린 답만 외우는 것이 아니라, 왜 그 선지가 답이 될 수 없는지를 이해하도록 해야 합니다. 계산 문제는 자주 나오는 문제만 나오므로, 포기하지 말고 유형을 암기해야 합니다.

 

■ 실기시험

 실기시험은 필답형, 즉 주관식으로 이루어집니다. 크게 구분하자면 계산형, 단답형, 서술형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단답형은 다시 용어형과 빈칸형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집니다. 4지선다형 문제인 필기와 비교하면, 주관식인 필답형 시험은 체감 난이도가 훨씬 높습니다. 나올 확률이 높은 문제는 확실히 답할 수 있도록 숙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난이도는 신출, 기출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신출이 많이 나오는 경우는 난이도가 크게 상승하며, 기출이 많이 나오는 경우에는 본인이 공부한 양에 따라 난이도가 크게 달라집니다. 

 

 

전기공사기사 전로 및 전망

전기가전산업에서의 기본 에너지임을 감안할 때 전기시설물의 시공과 점검 및 유지·보수에 대한 관심과 관련 전문가의 수요는 계속될 것입니다. 특히 「전기공사업법」에서도 전기공사의 규모별 전기기술자의 시공관리 구분을 규정함으로써 전기기술자 이외의 자가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어 자격증 취득 시 진출 범위가 넓고 취업이 유리하여 매년 많은 인원이 응시하고 있습니다. 전력사용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기존 장비를 환경친화적 설비로 교체하는 작업도 늘어나고 있으므로, 이러한 전기공사 현장에 필요한 인력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이 됩니다. 직업전문성이 높으며 고용 유지가 높아 고용이 안정적인 편입니다. 최근 들어 건물의 고층화가 이뤄지고 있으므로 건물의 전기 및 전자설비를 관리하기 위한 인력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어 전기공사 현장 관리자의 전망 역시 나쁘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