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기기능사 란?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전기기기를 제작, 제조, 조작, 운전, 보수 등을 하도록 하기 위해 자격제도를 제정함.

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업무를 합니다.

 

 

전기기능사 준비기간

 전기기능사 필기 시험의 경우 보통 1개월, 실기는 1~2개월 정도 걸린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전공자의 경우 기초이론을 이해하는데 더욱 시간이 걸릴 수 있고, 학원을 다니실 경우에는 스케줄에 맞춰야 하기 때문에 기간이 좀 더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공식적으로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사이 2개월의 간격이 있기 때문에 열심히 준비한다면 총 3~4개월 정도 소요될 것으로 에상됩니다.

 

 

시험 내용

구분 시험 과목 검정 및 시험 시간 합격 기준
필기  * 전기이론
 * 전기기기
 * 전기설비
 * 객관식 4지 택일, 과목당 20문항
   (1시간)
*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실기  * 전기설비작업  * 작업형 (5시간) *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 전기기능사 응시료

 - 필기 시험 : 14,500원

 - 실기 시험 : 106,200원

 

★★★   전기기능사 시험신청 바로가기 →   ★★★

 

합 격 률

연도 필기 시험 실기 시험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2 48,440 16,212  33.5%  27,498 20,053  72.9% 
2021 57,148 19,587  34.3%  32,755 23,473  71.7% 
2020 49,176 18,313  37.2%  31,921 21,432  67.1% 
2019 53,873 16,802  31.2%  29,957 19,832  66.2% 
2018 48,832 15,176  31.1%  28,488 18,138  63.7% 

 

 

준 비 물

번호 재료명 규격 단위 수량 비고
1 강철선(피시테이프) 1.0mm M 1 2m 이상(안내선)
2 공구함 전공용 EA 1  
3 기타 필요공구 검정용 SET 1 수공구 세트 및 PE관, CD관 배선작업에 필요한 공구
4 니퍼 범용 EA 1  
5 드라이버 +, - SET 1 충전드릴 가능
6 롱노즈 플라이어 범용 1  
7 마스킹테이프 범용 1 사전 준비작업 금지
8 면장갑 일반 EA 1  
9 쇠톱 전선관 절단용 EA 1 또는 파이프 커터
10 스프링벤더 16mm 전선관 굽힘용 EA 1  
11 와이어스프리퍼 1.5 ~ 2.5㎟용 EA 1  
12 운동화 null 1 또는 안전화
13 자(직격, 삼각, 철, 줄자 등) 범용 EA 1 사전 준비작업 금지
14 펜치 범용 EA 1  
15 필기구 볼펜, 분필 등 세트 1  
16 회로시험기(벨로스터) 회로 시험용 EA 1 또는 멀티테스터

 

 

합격 공략

■ 필기 시험

 

 필기시험은 문제은행식의 시험이므로, 기출문제를 풀어보며 문제와 답을 암기하는 것 역시 이론공부만큼 매우 중요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교재를 활용하여 공부를 하는 방법이 있는데, 기출문제의 경우 최소 7회분은 풀어보는 것에 합격에 도움이 되며, 개인에 따라 10회분 이상을 풀고 암기하는 것도 추천합니다. 기출문제를 공부할 때에는 오답을 따로 정리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답을 정리할 때에는 틀린 답만 외우는 것이 아니라, 왜 이 선지가 답이 될 수 없는지를 이해하도록 합니다.

 

계산기의 경우, 허용된 기종의 공학용 게산기만 사용 가능하며, 허용군 공학용 계산기는 큐넷에서도 별도 확인할 수 있으며, 허용군 외 공학용 계산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수험자가 계산기 매뉴얼 등을 확인하여 직접 초기화 및 감독위원 확인 후 사용이 가능합니다.

 

기술사, 기사(산업기사), 기능장 등급에서의 계산기 사용의 경우 제반여건 조성 이후 큐넷 공지사항 황목에서 별도 공지가 이로어 집니다. 필기시험의 경우 CBT 형식으로 출제되므로, 시험을 다 보고 답안지를 제출하는 즉시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합격시 문구와 함께 파란색으로 점수가 뜨며 불합격시 문구와 함께 붉은색으로 점수가 크게 표시됩니다.

 

 

■ 실기 시험

 

전기기능사 실기시험은 작업형으로, 약 5시간 동안 치러집니다. 직접 도구를 가지고 회로를 제작하는 시험이므로, 독학이 쉽지 않은 시험 중 하나입니다. 작업 장소의 제약이 많고 연습 공구나 동작검사 세트 등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문 학원을 통해 준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어떠한 경우에 감점이 되는지 알 수 있는 점수 기준표는 학원을 다닐 경우 학원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학원을 선택할 때에는, 거주지와 가까운 학원을 선택하여 등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시험장소와 수업장소가 같거나, 강사가 시험 관리인으로 들어오는 곳이라면 더욱 유리합니다.

 

실제 실기시험에서는 회로도를 받은 후 직접 나무 합판에 시퀀스 회로를 만들게 되며, 실습 순서는 일반적으로 제도->제어판배선->배관작업->입선작업->테스트로 이루어집니다. 연습 시 각 순서마다 시간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한데, 제어판 작업은 1시간 30분~2시간, 배관은 1시간, 입선 및 기구 설치 50분~1시간, 최종 확인 점검 및 문제점 수정 10~20여 분 정도로 총 4시간~4시간 20분 내외로 작업하는 것이 안정적인 합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시간 30분이라는 긴 시험시간이 주어지므로, 체력소모에 유의해야 하며 중간에 점심을 먹을 시간 또한 부족함을 유념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시험 날짜마다 도면이 완전히 바뀌지는 않으므로, 둘째 날이나 셋째 날 시험을 본다면, 첫째 날 시험을 본 응시자들의 후기를 참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실기 시험의 경우, 점수도 중요하지만 작동 여부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전기기능사 채점기준에 따르면 ‘동작’ 항목의 경우, 회로도의 요구대로 작동되면 25점, 한 곳이라도 작동이 안 되면 오작동이므로 채점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전기기능사 시험의 경우 개인이 준비해야 할 물품이 많으므로, 시험 준비물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구비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참 준비물 등은 문제의 변경이나 기타 다른 사유로 수량 및 품목 등이 변경될 수도 있으므로 정기적인 확인은 필수입니다.

 

진로 및 전망

 발전소, 변전소, 전기공작물시설업체, 건설업체, 한국전력공사 및 일반사업체나 공장의 전기부서,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 생산업체, 부품제조업체 등에 취업하여 전기와 관련된 제반시설의 관리 및 검사업무 보조 및 담당할 수 있으며,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공사업체, 전기설게전문업체, 전기기기 설비업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환경시설업체, 건설현장, 전기공장물시설업체, 아프트전기실, 빌딩제어실 등에 취업 할 수 있습니다.

용접부위를 손질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용접점이나 절단선을 표시하고 용접물의 재료, 두께, 형태 등을 파악하고 적합하게 용접장비를 조정하고, 공장물을 위치시키고 적절한 전극, 용접봉, 토치팁 및 기타 필요한 공구를 사용하여 접합부나 이음매를 용접하거나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는 직무를 수행합니다.

 

설치된 전기시설을 유지,보수 하는 인력과 전기제품을 제작하는 인력수요는 계속될 전망이며, 새롭게 등장하는 신기술의 개발로 상위의 기술 수준 습득이 요구되므로 꾸준한 자기 개발을 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전기산업기사 - 정보, 응시 자격, 시험, 합격률, 합격 공략, 활용

전기산업기사 란? 전기는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이지만 관련설비의 시공과 작동에 있어서도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입니다. 이에 따라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고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

odinurse.com

 

전기기사 - 정보, 응시 자격, 시험, 합격률, 활용

전기기사 란? 전기기사는 평균적인 필기 합격률은 20% 내외, 실기 합격률은 30% 내외입니다. 수많은 기사 자격증 중에서도 특히 전기기사가 가장 어렵다는 의견이 많고, 실제로 전기기사 합격률이

odinurse.com

 

 

전기공사기사 - 정보, 응시 자격, 시험, 합격률, 합격 공략, 진로 및 전망

전기공사기사 란? 전기는 생산, 수송, 사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설비를 전기 특성에 적합하게 시공되어야 안전합니다. 그러므로 전력의 모든 시설물을 안전하게 시공하고 검사하기 위한 전문

odinurse.com

 

 

소방설비기사 - 자격, 정보, 시험, 활용

소방설비기사 란? 소방설비기술사 면허는 개인이 소방설비의 유지·보수·점검을 할 수 있는 자격입니다. 소방 펌프, 소화기, 호스 및 관련 시스템의 기능 및 규정 준수를 보장하는 전문성을 인

odinurse.com

 

반응형